사용자 삽입 이미지
피아노 연주회에 다녀왔습니다.
교회 청년 중 한 명이 연주회의 주인공이었습니다.
연주를 들으면서 얼마나 많은 땀방울을 흘렸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악보를 외우기 위해서, 또한 감정을 음에다가 담기 위해 수없이 연습을 하면서 때로는 한계를 느끼기도 했을 것이고, 답답해서 한숨을 쉬었을지도 모릅니다.
 그래도 포기할 수 없고 해야 하는 길이기에 묵묵히 최선을 다해 준비하며 연주회에서 준비한 것을 다른 사람들 앞에서 보여주는 것은 참 보람되지 않은가 생각이 됩니다.

 이런 생각을 하면서 신앙에 대해서 생각해 보게 되었습니다.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삶을 살면서 때로는 무언가 발전이 없는 것 같고, 답답함이 느껴지고 그냥 어디론가 떠나버리고 싶을 때가 찾아오기 마련입니다.
 그럴 때 우리의 마음을 어떻게 다스리느냐가 중요한데, 생각보다 쉬운 과정이 아닌 것 같습니다. 그래서 말씀에서는 인내를 그토록 강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인내라는 것은 당시에는 쓰고 힘들지만, 분명 우리의 삶 가운데 즐거움과 기쁨을 주는 것입니다. 결과까지 좋으면 더할 나위 없겠지만, 결과가 좋지 않더라도 최선을 다했다는 것은 나름대로 자부심을 가질 수 있지 않나 생각이 됩니다.

 최선을 다해서 이 땅 가운데 사는 삶, 꼭 필요한 것 같습니다.
실패할까봐 돈을 땅에다 묻어둔 종처럼 사는 것이 아니라, 실패할찌라도 자기에게 주어진 것으로 날마다 최선을 다해 산다면 하나님이 기뻐하시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하나님은 마음의 중심을 보시는 하나님이시라고 성경은 말씀하고 있습니다. 결과 지향적인 것은 사람들의 심리겠지만, 결과보다는 과정 가운데 충성스럽게 사는 사람이면 얼마나 좋을까 생각해 봅니다.

[위의 사진은 연주회 사진과 상관없는 사진입니다. !!]

'biblical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망의 말씀.  (0) 2008.05.16
말씀은 성육신해야 한다.  (0) 2008.05.16
사회적 참여와 영적 영향력  (0) 2008.05.15
결혼과 영적 성장  (1) 2008.05.13
고전 6장 12-20절  (0) 2008.05.13
AND


바로 이전 글에서 우리의 일상적인 삶, 특히 가정생활을 통해 우리는 하나님에 대해서 알아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번에는 사회적 참여의 중요성을 언급해 보고자 하겠습니다.
믿는 사람들 뿐만 아니라 믿지 않는 사람들도 하나님에 대해서 알기 위해선 우리의 눈으로 볼 수 있는 현상이 필요합니다.
주변에 예수 믿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시다.
그런데, 그 사람들이 가난한 사람, 소외된 사람에 관심이 없는 모습을 보이는 게 대부분이라고 생각해 본다면, 믿지 않는 사람들이 예수님을 어떻게 이해하겠습니까?
아, 예수님은 사회적으로 천시받고 멸시받는 사람들에게는 관심이 없는 그저, 특정 계층들을 위한 예수님이구나! 이런 식으로 생각하지 않겠습니까?

따라서, 사회적으로도 예수님이 어떻게 사람들을 대하셨는지, 어려운 자들을 돌보셨는지를 보여줄 필요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람들은 예수님을 믿는 다는 것이 무엇인지, 예수님의 성품은 어떤 것인지에 대해서 바른 이해를 가질 수 있습니다.

즉, 사회적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세상의 빛으로 사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는 더 언급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믿는 자들의 삶 속에서 나타난 행동들을 통해, 믿지 않는 사람들은 하나님에 대해 이미지를 가진다는 것입니다.

오늘날, 기독인들이 많은 비난을 받고 있습니다.
그 부분에 대해서 무작정적인 비난들도 존재하겠지만, 그만큼 세상의 빛으로 기독인들이 살지 못했던 모습들도 우리는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한 사람 한 사람이 자신의 삶 가운데 작지만 소중한 실천을 개인의 삶 가운데, 사회적 참여 가운데 흘려보낸다면 왜곡된 기독교에 대한 이미지가 벗어질 수 있는 하나의 계기가 되지 않을까요?

'biblical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씀은 성육신해야 한다.  (0) 2008.05.16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아름답다!  (0) 2008.05.15
결혼과 영적 성장  (1) 2008.05.13
고전 6장 12-20절  (0) 2008.05.13
인격 또는 성품의 중요성.  (0) 2008.05.13
AND


흔히, 신앙 생활을 하면서 지나치게 영적인 것에 치중하는 사람들도 있고 그렇지 않은 것에 치중하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지요.
그러나, 가정을 이루고 결혼 생활을 하는 것에 있어서는 특히, 영적인 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것을 우리는 많이 살필 수 있습니다.
하나님의 뜻과 계획을 우리는 알 수가 없습니다. 하나님이 알려주셔야 그 범위 내에서만 인간은 알 수 있습니다.
영적인 것도 우리가 이해할 수 있고 볼 수 있는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으로 설명을 해 줘야 우리는 이해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 과정 가운데 중요하게 사용되는 것이 바로 가정입니다.

결혼은 남녀가 하나가 되는 것입니다.
결혼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하고, 하나님의 뜻에 따라 신성하고 거룩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결혼을 통해서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되는 것이 무엇인지를 깨닫게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결혼 자체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고, 함부로 대하는 사람은 그리스도와 연합된다는 것이 무엇인지 그리스도의 신부가 된다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왜곡된 개념을 갖게 되는 것은 당연한 일입니다.

결혼하고 나서 부부는 아이를 갖게 됩니다.
아이를 키우는 과정에 있어서 헌신적인 사랑이 요구됩니다.
하나님이 아이를 얼마나 소중히 여기시는지를 더욱더 알고 부모의 헌신적인 사랑이 아이에게 가면 갈수록, 하나님이 우리를 향한 사랑도 이보다 더 깊겠구나라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반대로, 아이도 부모의 헌신적인 사랑을 통해 사랑받는다는 것이 이런 것이구나를 깨닫게 되며, 영적인 원리, 하나님의 자녀를 향한 사랑을 깨닫게 됩니다.

만약에, 부모와 자식간의 사랑이 깨어지고 자식이 학대 당하는 상태라면 어떻게 하나님의 자녀를 향한 사랑에 대한 바른 관념을 갖겠습니까?

그래서, 가정이란 것은 정말 중요한 것입니다.

부부생활도 마찬가지입니다.
서로를 향해 존중하고, 서로를 향해 사랑과 신뢰에 바탕을 두며 희생과 섬김이 있을 때, 예수님도 나를 이렇게 사랑하셨지를 더욱더 깊게 깨달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부부가 서로를 향한 사랑과 신뢰가 없고, 외도를 한다거나 그렇다면 어떻게 예수 그리스도의 헌신과 섬김 희생에 대해 깊은 이해를 가질 수 있겠습니까?

따라서,
남녀가 만나서 하나님 안의 아름다운 교제를 하고 가정을 이루고 자녀를 갖는다는 것은 단순한 남녀간의 하나됨 이상의 영적인 원리와 연결되는 것을 우리는 알 수 있습니다.

하나님은 이 세상 가운데 하나님을 더욱 더 알아가도록 남녀가 가정을 이루도록 만드셨고, 교회 공동체를 구성하도록 만드셨고, 세상 가운데 영향을 발휘하는 것이 어떤지를 알도록 이 세상 가운데 두셨습니다.
따라서, 모든 것을 영적인 것이다 육적인 것이다라고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영과 몸은 하나로 존재하고 있다는 것을 깨달으며 하나님의 사랑과 그 뜻을 날마다 알아가는 데 힘써야 겠습니다.

'biblical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최선을 다하는 모습은 아름답다!  (0) 2008.05.15
사회적 참여와 영적 영향력  (0) 2008.05.15
고전 6장 12-20절  (0) 2008.05.13
인격 또는 성품의 중요성.  (0) 2008.05.13
기도  (0) 2008.05.10
AND


http://ekosta.org
복음주의 학생운동 Kosta/USA 팀 블로그입니다.

AND


관찰;
12.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 -> 다 유익한 것이 아니요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 -> 내가 무엇에든지 얽매이지 아니하리라.
- NIV 성경 번역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되어 있습니다.
모든 것이 내게 가하나라는 사람들의 주장에 대해, 그것이 다 유익하지 않다, 그것에 지배를 받아서는 안된다라는 바울의 논리가 맞서고 있습니다.
생각해 볼 점)
어떤 것이 우리에게 괜찮다라고 생각하는 것 중에, 유익하지 못하게 하거나, 그것의 지배를 받는 것들은 없는지?
아주 작은 것에서 부터 시작하면, 가령, 드라마를 열심히 본다. 뭐 이런 것이 그닥 나쁘지는 않지만 너무 많이 보면 유익하지 못하고 오히려 그것의 지배를 받게 될 수도 있겠죠. 운동도 마찬가지겠구요. 운동 중독에 걸린 사람도 보았습니다. ^^;;;

13. 음식은 배를 위하여 있고, 배는 음식을 위하여 있으나
(중략) 몸은 음란을 위하여 있지 않고, 오직 주를 위하여 있으며 주는 몸을 위하여 계시느니라.
- 이것도 12절과 같은 논리적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
사람들은 음식은 배를 위하여 있고, 배는 음식을 위하여 있다라는 단순화된 논리, 몸의 한 부분이 기능적으로만 존재한다는 논리를 가지고 몸도 또한 성적으로 자유롭게 관계를 가져도 되는 것으로 그것이 몸의 존재이유다라고 말하는 사람들에 대하여, 몸은 음란을 위한 것이 아니라 오직 주를 위하여 있고, 주도 몸을 위하여 계신다라는 논리로 반박하고 있습니다.
14. 하나님이 주를 살리신 것처럼 우리를 다시 살리시리라.
- 이 부분은 몸의 중요성을 언급하기 위해, 몸이라는 것은 단순히 사라지는 존재가 아니라 그 이상이다라는 것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주님의 부활도 몸의 부활이 같이 이루어졌듯이, 우리도 부활의 상태에서 몸을 입게 되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지요.
생각해 볼 점)
우리의 몸의 존재 목적은 무엇인가요? (14절부터 20절 사이에)
1. 부활에 참여한다.
2. 성령의 전이다.
3. 하나님이 주신 것이다.
4. 값으로 사신 것이다.
5. 우리 자신의 것이 아니다.
즉,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몸은 우리가 생각하는 몸에 대한 관념과 많이 틀리지요.
창조시에도 하나님이 우리의 몸을 아주 정성들여 만드셨습니다. 또한 예수님도 성육신 하셨지요. 몸은 하나님의 성령을 담는 그릇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몸은 육적인 개념뿐만 아니라, 영적인 부분들의 개념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biblical things'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회적 참여와 영적 영향력  (0) 2008.05.15
결혼과 영적 성장  (1) 2008.05.13
인격 또는 성품의 중요성.  (0) 2008.05.13
기도  (0) 2008.05.10
다양성 속에 존중받음.  (0) 2008.05.01
AND